대한민국 공보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공보처는 1948년과 1990년에 설치 및 폐지 과정을 거친 대한민국의 행정 기관이다.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신설되어 공보 업무를 담당했으며, 1956년 폐지 후 공보실로 대체되었다. 이후 1990년 문화공보부 폐지 후 재설치되었으나, 1998년 국무총리 직속 공보실로 다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공보처는 공보국, 통계국, 감사관, 공보관, 광고진흥국 등 다양한 조직을 산하에 두었으며, 역대 처장 및 장관, 차장 및 차관을 임명하여 운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폐지 - 프랑스령 튀니지
프랑스령 튀니지는 1881년부터 1956년까지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던 튀니지 시대로, 프랑스가 군사적 개입과 바르도 조약을 통해 보호령을 선포한 후 튀니지의 각 분야를 통치하며 튀니지인들의 민족주의 운동 끝에 독립을 맞이했다. - 1956년 폐지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 1998년 폐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98년 폐지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대한민국 공보처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공보처 (1948년 ~ 1956년) | |
설립일 | 1948년 11월 4일 |
해산일 | 1956년 2월 8일 |
전신 | 정부 수립과 함께 발족 |
후신 | 공보실 |
공보처 (1990년 ~ 1998년) | |
![]() | |
설립일 | 1990년 1월 3일 |
해산일 | 1998년 2월 27일 |
전신 | 문화공보부 |
후신 | 공보실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공보처의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는 다음과 같다.
근거 법률 | 내용 |
---|---|
1948년 7월 17일 제정 정부조직법 제30조[1] 및 제32조[2], 1948년 11월 4일 제정 공보처직제 제1조[3] | 공보, 선전, 통계, 인쇄 및 정기간행물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
1989년 12월 30일 일부개정 정부조직법 (법률 제4183호) 제26조의3[4], 1990년 1월 3일 제정 공보처직제 (대통령령 제12898호) 제1조[5] | 공보 및 정기간행물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
2. 1. 1948년 설치 근거
1948년 7월 17일에 제정된 정부조직법 제30조[1] 및 제32조[2]와 1948년 11월 4일에 제정된 공보처직제 제1조[3]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2. 2. 1990년 설치 근거
1989년 12월 30일 일부개정된 정부조직법 (법률 제4183호) 제26조의3[4]과 1990년 1월 3일 제정된 공보처직제 (대통령령 제12898호) 제1조[5]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3. 연혁
3. 1. 1948년 ~ 1956년: 공보처 신설 및 폐지
1948년 11월 4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공보처가 신설되었다.[1] 1956년 2월 8일 공보처는 폐지되고, 대통령 직속의 공보실이 신설되었다.[2]3. 2. 1990년 ~ 1998년: 공보처 재신설 및 폐지
1990년 1월 3일 문화공보부가 폐지되고 공보처와 문화부가 신설되었다.[3] 1998년 2월 27일 공보처는 폐지되고 국무총리 직속의 공보실이 신설되었다.[4]4. 조직
대한민국 공보처는 1948년 11월 정부 수립과 함께 설치되어 1998년 2월 김대중 정부 출범 이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공보처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내부 조직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공보국과 통계국을 두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다. 1990년대에는 감사관, 공보관, 공보정책실, 광고진흥국, 국립영화제작소(이후 국립영상제작소), 기획관리실, 매체국(이후 방송행정국, 신문방송국), 비상계획관, 신문행정국, 여론국, 정부간행물제작소, 종합홍보실, 총무과, 해외공보관, 홍보국, 홍보조사국 등을 운영하였다.
4. 1. 1948년 ~ 1956년
1948년 11월부터 1956년 2월까지 공보국이, 1948년 11월부터 1955년 2월까지는 통계국이 존속하였다.4. 2. 1990년 ~ 1998년
명칭 | 존속 기간 |
---|---|
감사관 | 1990.01 ~ 1998.02 |
공보관 | 1990.01 ~ 1998.02 |
공보정책실 | 1990.01 ~ 1994.05 |
광고진흥국 | 1990.01 ~ 1998.02 |
국립영상제작소 | 1994.05 ~ 1998.02 |
국립영화제작소 | 1990.01 ~ 1994.05 |
기획관리실 | 1990.01 ~ 1998.02 |
매체국 | 1990.01 ~ 1991.04 |
방송매체국 | 1994.05 ~ 1994.12 |
방송행정국 | 1991.04 ~ 1994.05 |
비상계획관 | 1990.01 ~ 1998.02 |
신문방송국 | 1994.12 ~ 1998.02 |
신문행정국 | 1991.04 ~ 1994.05 |
여론국 | 1994.05 ~ 1998.02 |
정부간행물제작소 | 1991.12 ~ 1998.02 |
종합홍보실 | 1994.05 ~ 1998.02 |
총무과 | 1990.01 ~ 1998.02 |
해외공보관 | 1990.01 ~ 1998.02 |
홍보국 | 1991.12 ~ 1994.05 |
홍보조사국 | 1990.01 ~ 1991.12 |
5. 역대 처장 및 장관
(4대)
1950년 11월 26일 ~ 1953년 3월 5일